리듬 풍경

나’라는 빈 공간 / 정희정 작가 노트

같은 장소를 다른 시간에 만났을 때 피부의 두께만큼 과거와 현재가 포개진 풍경은 내 안에서 기묘한 불협화음을 만들어 냈다.
길을 따라 산책하는 것은 장소 이동이지만 리듬을 듣는 것은 시간 여행이다.
그것은 내게 귀환의 여정이면서 동시에 내 안의 타자성을 발견하는 부단한 듣기의 시간이었다.

팔복에서 낮과 밤은 완전히 다른 풍경이다.
공장시설이 밀집한 이곳 아침은 신호등 아래서 반복적인 정지와 출발로 사거리를 중심으로 사람들의 일상 리듬을 만들어 낸다.
해 질 무렵 산책하다 바라본 멈춰 선 기차, 장마가 끝나고 검게 반짝이던 진흙 길, 한 낮의 공터에 폐기된 먼지 묻은 오리배가 들려주던 부정형 리듬, 따뜻하고 축축한 밤의 어느 명절날,
24시간 가동되던 공장이 문을 닫은 날이 되어서야 감각되던 리듬 풍경처럼 급작스러운 멈춤으로 시간과 한 몸이 된 공간에서 살아가는 삶의 방식이 드러난다.

80년대 ‘썬전자’라는 곳은 카세트테이프를 제작하는 공장이었다.
기록보관소에서 우연히 이곳에서 청춘을 보낸 여성 노동자들의 인터뷰를 찾았다.
그중 한 분의 생애사를 무심히 따라가다가 어느 순간 내 안의 원인 모를 불협화음과 공명하는 순간을 마주했다.
추억이나 기억처럼 어떤 리듬은 감춰지고 숨겨진다.
한번도 만난 적 없는 그녀의 떨리는 목소리를 통해 내가 포착한 리듬은상상적인 것이었으리라.
오래된 카세트 녹음기에서 들리는 듯한 가상의 리듬이 나를 관통한 것은 완전히 가공된 것이었지만 내 몸에 새겨진 리듬 형식을 돌아보는 데는 충분했다.
그녀의 목소리가 끝나는 가장자리에서 시작하는 나의 풍경은 내가 출발한 바로 그곳이었다.
나라는 느낌의 공회전, 고향이라는 환영 말이다.

When we encounter the same location at different times, landscapes layered with the thickness of history and present, equivalent to that of our skin, resonate within us with a peculiar dissonance.
Walking along the path is a physical relocation, but listening to the rhythm is akin to time travel.
It was a journey toward a homecoming for me, but at the same time, it was an intense period of listening that led to the discovery of my internal alterity.
Day and night at Palbok present two entirely different panoramas.

Here, in an area densely populated with factories, the daily rhythm of the people is orchestrated by the repeated stops and starts under traffic lights centered around intersections.
During an evening stroll, I gaze at a train brought to a halt, a muddy road shimmering dark after the end of the monsoon.
The irregular rhythms of a dust-coated paddleboat abandoned in an empty field at midday, the rhythms perceptible only on the day the 24-hour factory
finally shuts its doors, like a humid holiday night-these instances reveal the manner of life lived in spaces synchronized with time by sudden halts.

In the 1980s, a place known as ‘Sun Electronics’ was a factory producing cassette tapes. I happened upon an interview with female workers who had spent their youth at this location in the archives.
While following the life story of one of these workers, there came a moment when I confronted a resonance with the inexplicable dissonance within me.
Like memories and recollections, certain rhythms remain concealed and hidden.
The rhythm I captured through the trembling voice of a woman I had never met must have been a product of my imagination.
It seemed as though it came from an old cassette recorder-a virtual rhythm-but it was wholly fabricated, still it was enough to reflect on the rhythm etched into my body.
My landscape, starting where her voice ends, was precisely where I began. It was a cyclic motion of a sense of self, an illusion of a homeland.